부동산을 거래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중개수수료(복비)입니다. 하지만 거래금액에 따라 얼마나 내야 하는지 헷갈리기 쉽죠.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중개보수 요율표 기준으로 중개수수료 계산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1. 부동산 중개수수료란?
부동산 중개업자(공인중개사)가 거래를 알선하고 계약서를 작성해주는 대가로 받는 보수를 중개수수료라고 합니다. 이는 거래금액 × 요율로 계산되며, 거래유형(매매, 전세, 월세)과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2. 2025년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표
아래는 2025년 전국 공통 중개보수 요율표입니다. (지자체별 세부 조정 가능)
● 주택 매매
거래금액 | 요율 (최대한도) |
---|---|
5천만 원 이하 | 0.6% |
5천만 ~ 2억 원 | 0.5% |
2억 ~ 6억 원 | 0.4% |
6억 ~ 9억 원 | 0.5% 이내 (협의) |
9억 원 초과 | 0.9% 이내 (협의) |
● 주택 임대차 (전세/월세)
보증금 기준금액 | 요율 (최대한도) |
---|---|
5천만 원 이하 | 0.5% |
5천만 ~ 1억 원 | 0.4% |
1억 ~ 3억 원 | 0.3% |
3억 ~ 6억 원 | 0.4% 이내 (협의) |
6억 원 초과 | 0.8% 이내 (협의) |
※ 월세는 보증금 + 월세 × 100을 합산한 금액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3. 중개수수료 계산 예시
1) 매매 거래
예: 4억 원짜리 아파트 매수
- 요율: 0.4%
- 계산: 4억 × 0.004 = 160만 원
- 매도자와 매수자 각각 부담
2) 전세 거래
예: 전세보증금 2억 원
- 요율: 0.3%
- 계산: 2억 × 0.003 = 60만 원
3) 월세 거래
예: 보증금 1천만 원 / 월세 60만 원
- 환산금액: 1,000만 + (60만 × 100) = 7,100만 원
- 요율: 0.4%
- 계산: 7,100만 × 0.004 = 28.4만 원
4. 중개수수료 협상 가능한가?
법으로 정해진 ‘최대요율 한도 내’에서 중개업소와 협의 가능합니다. 특히 매매가 6억~9억 구간 또는 전세 3억~6억 구간은 "이내"라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수수료는 조정 여지가 있습니다.
5. 계약 시 꼭 확인할 점
- 요율표 고지 여부: 중개업소에 반드시 비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현금영수증 필수 요청 – 세액공제 가능
- 수수료는 거래 완료 후 지급 (계약 성사 시점 기준)
마무리
중개수수료는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거래 당사자의 권리와 직결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무턱대고 내는 것이 아니라, 요율표 기준 + 협상 여지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거래를 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중개수수료 계산법까지 마스터하셨으니, 다음에는 부동산 계약서 주의사항도 함께 살펴보세요!
+ 중개수수료 계산기
아래에 거래 금액과 요율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수수료가 계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