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거래가 vs 호가 차이 이해하기 – 부동산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by 무주택의 가장 2025. 4. 12.

부동산 매물을 검색하다 보면 “호가는 9억인데, 실거래가는 8억이래요”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여기서 ‘호가’와 ‘실거래가’는 도대체 무엇이고, 왜 가격 차이가 날까요?

이번 글에서는 실거래가와 호가의 정확한 의미, 차이점, 실전 활용 방법까지 2025년 기준으로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실거래가란?

실거래가는 말 그대로 실제로 계약이 체결된 금액을 말합니다. 모든 부동산 매매·전월세 계약은 계약 후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에 신고해야 하며, 그 신고된 가격이 공개됩니다.

▶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바로가기

특징:

  • 정부에 의해 공개되는 가장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자료
  • 호가와 달리 허위 매물이 개입될 수 없음
  • 금융기관, 세무서, 투자자 모두 실거래가 기준 활용

2. 호가란?

호가는 집주인 또는 중개사가 “이 가격에 팔고 싶다”고 제시한 가격입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호갱노노 등에 올라온 대부분의 매물은 호가 기준입니다.

특징:

  •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뀜
  • 실제 거래와 가격 차이 날 수 있음 (통상 5~15% 높음)
  • 급매 vs 일반 매물 간 가격 격차가 큼

3. 실거래가 vs 호가 예시 비교

항목 실거래가 호가
정의 실제로 거래된 금액 (신고) 판매자가 원하는 희망가
출처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부동산 포털 사이트
신뢰도 높음 (공공데이터) 낮음 (개인의 기대치)
활용도 세금, 대출, 매수 판단 기준 시장 분위기 참고용

4. 왜 실거래가보다 호가가 더 높을까?

  • 집주인의 희망가격 반영 → “이 정도는 받아야지” 심리
  • 실거래가 하락기에 호가만 유지되는 경우 많음
  • 중개업소가 시세를 유지하거나 띄우려는 경우도 있음

TIP:

호가가 아닌 실거래가 기준으로 매수 결정을 해야 허위매물, 과대 평가된 시세에 속지 않습니다.

5. 실거래가 활용 팁 (2025년 기준)

  • 최근 3개월 이내 동일 평형·동·층수 기준 거래 참고
  • 단순 평균보다는 “유사 조건” 매물 기준으로 분석
  • KB시세, 네이버 시세, 실거래가 3가지 교차 확인 추천

6. 마무리

부동산 시세는 호가가 아닌 실거래가로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초보 매수자일수록 플랫폼에 등록된 가격 = 실제 시세라고 오해하기 쉬운데요, 꼭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통해 거래된 금액을 확인하세요.

이제 실거래가와 호가의 차이를 알게 되셨다면, 다음 글에서는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 활용법이나 KB시세 보는 법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